2024-05-23,   Do-soo, KIM

이번 포스팅에서는 Jenkins을 설치하여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하기


Jenkins를 설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필자는 docker compose를 사용하여 설치해 보겠습니다.

- docker-compose.yml 파일 작성

다음과 같이 docker-compose.yml 파일을 작성합니다.
일부 내용들은 각자 필요하신 값으로 수정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version: '3.8'
services:
  jenkins:
    container_name: dt_jenkins
    image: jenkins/jenkins:lts
    ports:
      - "8081:8080“
    volumes:
      - ./jenkins_home:/var/jenkins_home
      - ./.ssh:/.ssh
    user: root
    environment:
      - TZ=Asia/Seoul
restart: unless-stopped

- 실행

아래 명령어로 실행합니다.

docker-compose up -d

시작하기


이제 실행이 되었으니 한번 시작해 볼까요?

하지만,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귀찮은 일을 더 해야 합니다.
차근차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결 설정

웹브라우저에서 http://{설치한 ip주소}:8081로 접속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접속화면이 보일 겁니다.


관리자 비밀번호는 입력해야 하는데, 비밀번호는 실행된 jenkins 도커 컨테이너 내부로 진입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docker exec -it {container_id} /bin/bash
cat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다음은 플러그인을 설치합니다.

Default로 추천되는 플러그인을 우선 설치하고, 필요한 플러그인은 나중에 추가 설치하면 됩니다.



admin 계정을 생성합니다.


인스턴스를 설정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드디어 jenkins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 관리자 권한 설정

jenkins를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자 권한을 설정합니다.






여기까지 관리자 권한 설정이 끝났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서는 Jenkins를 직접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