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28,   Gun-ha, KANG

이번 포스팅에서는 Hopfield Network(1982’)에 대해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Hopfield Network

개요

본 포스팅에서는 1982년 물리학자 존 홉필드 제안한 논문인
“신경망과 물리 시스템에서 비롯되는 집단적 계산능력” 에서는 뉴런의 기본 속성과 단순한 지역 회로들이 어떻게 복잡한 계산 능력과 집합적 특성을 가지게 되는지를 설명합니다.

Method

The general content-addressable memory of as physical system

해당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안정상태를 저장하여 이를 나중에 연상할 수 있는 물리 시스템을 이용한 일종의 content-addressable memory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러한 메모리 시스템은 저장된 패턴을 기반으로 주어진 쿼리를 연상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는 주어진 내용(content)이 주소(address)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의미로, 저장된 패턴을 찾아내기 위해 패턴의 내용을 이용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메모리 시스템을 뉴런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률 분포 함수로 모델링하고, 홉필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를 구현하였습니다. 각 상태(패턴)은 게슈탈트적인 특성을 가지기에 개별적인 뉴런들의 상태가 아닌 전체 패턴을 하나의 덩어리를 봅니다.

※게슈탈트: 예를들면 정지된 장면들을 연속적으로 제시하면 이러한 단순 조합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영화와 같은 움직임이 나타난다와 동일, “전체는 부분의 단순한 합이 아니다”

The model system

논문에서는 이진 뉴런 모델과 해당 뉴런의 기본속성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해당 모델에서는 이산적인 바이너리 값들을 다룹니다. 즉, 각 뉴런은 0 또는 1의 값을 가지며, 이 값들은 뉴런의 활동상태를 나타냅니다.

홉필드에서는 뉴런이 발화하는 것과 같이 상태를 전이시키는데 필요한 임계값을 설정해주며, 이 값은 가중치의 합이 일정 값 이상이 되어야 발화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합니다.

The information storage algorithm

홉필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수식 2

    eq2

    • 각 뉴런 $i$와 $j$ 사이의의 연결을 나타내는 가중치 행렬 $T_{ij}$을 계산하는 식
    • 뉴런 간의 시냅스 연결강도 $T$ 로 표현, 이때 $T$ 는 대칭행렬
    • 뉴런 $i$와 $j$ 사이의 연결이 활성화되면 양수값, 비활성화되면 음수값
  • 수식 3

    eq3

    • 입력 패턴 $s’$와 가중치 행렬을 이용하여 $j$번째 뉴런의 활성화 값을 계산하는 식
    • 입력 패턴 $s’$와 저장된 정보 간의 내적 연산을 이용합니다. 내적 연산을 통해 구한 값은 $H_j^{s’}$
    • $[\sum_j V_j^{s’}(2V_j^s-1)]$는 해당 뉴런이 입력 패턴 $s’$와 유사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
    • $H_j^{s’}$ 값이 입력 패턴 $s’$와 비슷하다면, 해당 패턴과 유사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 수식 4

    eq4

    • $H_i^{s’}$은 뉴런 $i$가 입력 패턴 $s’$와 유사한 패턴을 출력하도록 하는 값
    • 평균 내서 $\left\langle H_i^{s^{\prime}}\right\rangle$로 나타냄
    • $N$은 뉴런의 갯수로, 활성화된 뉴런의 경우 $(2 V_i^{s’}-1)$ 값이 큰 양수가 되며, 이 값을 $N/2$와 곱함으로써 더욱 큰 값을 얻으며, 음수인 경우에는 더욱 작은 값을 만듬

The bi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model

모델의 생물학적 해석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Hebbian property 는 Hebbian rule 에서 연결된 뉴런들이 동시에 활성화되면 해당 시냅스 강도가 강화되는 현상으로, Hebbian property 가 생물학적 신경망에서도 관찰됩니다. 홉필드에서도 마찬가지로 규칙을 통해 시냅스 강도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통해 뉴런 간의 연결이 동적으로 조정됨을 말합니다.

  • 수식 6

    eq6

    • 시간$t$에서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시냅스 강도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식

Studies of the collective behaviors of the model

모델의 집합적인 행동을 연구하는 내용을 설명합니다. 특히 에너지 함수를 이용한 시스템의 상태 표현에 대한 설명을 주로 다룹니다.

  • 수식 7

    eq7

    • 모델의 에너지 함수 식
    • 각 뉴런간의 연결강도와 상태에 따라 에너지가 결정됨
    • 에너지가 최소가 될 때, 네트워크가 안정상태를 띔
  • 수식 8

    eq8

    • 뉴런의 상태 변화에 따른 에너지 변화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이러한 상태 변화가 네트워크의 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계산
    • $\Delta$i, 뉴런 $i$의 상태가 변화가 일어났을 때의 그와 연결된 뉴런 $j$

> 추가적으로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한 지표로 사용 중인 수식들입니다.

  • 수식 9

    eq9

    • 엔트로피를 계산하는 식
    • 엔트로피란 시스템 내에서 가능한 상태들이 갖는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척도
    • $M$은 모든 가능한 상태의 수, $pi$는 i번째 상태의 확률
    • 입력 패턴을 올바르게 분류할수록 낮은 값
  • 수식 10

    eq10

    • 정규 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의 특정 범위 내의 확률을 계산하는 식
    • 모델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평가
    • 입력패턴에 대해 잘 작동한다면, 정규분포의 확률분포를 따르는 출력 패턴이 생성됨

> 뉴런 간의 연결 강도 업데이트를 위한 수식들입니다.

  • 수식 11

    eq11

    • $i,j$ 뉴런 사이의 전체의 연결 강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식
    • $k$개의 뉴런만 사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연결 강도를 업데이트
    • $X_i$와 $X_j$는 뉴런 $i$와 $j$의 현재 상태
    • 뉴런 사이의 연결 강도가 서로 다르면, 갱신
  • 수식 12

    eq12

    • $i$ 뉴런의 출력을 계산하기 위한 가중합을 나타내는 식
    • $c_{ij}$는 뉴런 $i$와 $j$ 사이의 가중치, $x_j$는 뉴런 $j$의 출력 상태
  • 수식 13

    eq13

    • 두 특정 $i,j$ 뉴런 사이의 연결 강도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식
    • $A$는 상수, $s$는 입력 패턴
    • 이전 상태와 현재 상태의 차이를 이용하여 각 뉴런 사이의 연결 강도가 갱신

정리 및 결론

홉필드 네트워크는 각 뉴런이 기본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작은 단위들이 모여서 집단적 계산 특성이 자발적으로 나타나는 모델로, 이러한 특성들이 생물학적 혹은 물리적 시스템에서도 발견되었고 이러한 부분이 모델링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 자료

  • Neural Networks and Physical Systems with Emergent Collective Computational Abilities

Contact Author. KangGunha Email. zxcvbnm9931@epozen.com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