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29,   Gun-ha, KANG

이번 포스팅에서는 의사결정 트리 - CART 알고리즘의 가지치기(Prunning) 에 대한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지난번 설명에 이어 다시 정리를 해보면, 의사결정 트리의 형성과정은 크게 성장(Growing), 가지치기(Prunning), 타당성 평가와 예측으로 이루어집니다. 각 마디에서 최적의 분리규칙(CART의 경우, 이진분리)을 적절하게 찾아 트리를 성장시키는 과정과 적절한 정지규칙을 만족하면 중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지치기 (Prunning)

분리 기준에 따라 트리를 끝까지 분리 했을 때, 모델은 일반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Fig1과 같이 과적합인 상태가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먼저 full tree를 생성한 뒤 가지치기를 통해 분할되었던 영역을 병합하여 노드를 잘라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 full tree란, Terminal node의 순도가 100% 상태인 트리를 말합니다.

1

가지치기 방식

가지치기는 크게 2가지로 사전 가지치기(Pre-Pruning)과 사후 가지치기(Post-Pruning) 방식이 존재합니다.

사전 가지치기는 말 그대로 사전에 정지규칙을 설정하여 사용합니다. 즉, 사전에 Max Depth를 설정하면 그 Max Depth만큼만 분리를 수행하게 됩니다.

사후 가지치기는 사전 가지치기와 다르게 full tree를 만든 이후에 노드를 제거(병합)하는 방식입니다.

사후 가지치기 알고리즘

Ruduced Error Prunning, Rule Post Pruning 등 여러 형태의 가지치기가 존재하는데, CART에서는 Cost Complexity Pruning이라는 비용 복잡도 제거 가지치기를 사용합니다. 의사결정 트리에서의 가지치기란 분할되었던 영역을 병합하는 의미가 큰데, 이러한 병합의 기준으로 비용 복잡도를 사용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비용 복잡도 함수

트리가 커질 때마다 비용 복잡도가 증가하므로, 최대 크기의 트리(fulee tree)에서 그 비용 복잡도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가지치기를 하는 방식입니다.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R(T): 학습 데이터에 대한 오분류율(오분류된 객체의 비중)
  • α : 가중치(tuning Parameter), 정규화 파라미터
  • f(T) : Leaf Node의 갯수

2

비용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 2가지를 고려해야됩니다.

  • 같은 에러율이라면, 훨씬 더 단순한 형태의 트리를 선택
  • 같은 leaf node 수라면, 에러율이 낮은 것을 선택

정리

학습 데이터를 가지고 Recursive Binary Splitting(Recursive Partioning)을 수행하여 최대 크기의 트리를 만들고, Terminal node가 100%에 가까워질때까지 분리를 합니다.

그 후에 데이터에 적합한 depth와 node를 구하기 위해서 Cross-validation을 통해 모든 subtree를 만들고 모델을 고르는 것은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만들어진 트리에 비용 복잡도 가지치기를 적용하여 Best Subtree를 모델로 고르게 됩니다.

해당 모델은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서 full tree에 비해 예측성이 더 높게 나오게 됩니다.

참고 자료


Contact Author. KangGunha Email. zxcvbnm9931@epozen.com

업데이트: